뉴스 > 산업

美 게임업계 “총기사건은 게임 탓 아냐, 정부 조사 유감”


▲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 (사진 출처: NPR)

미국 게임업계가 총기난사 사건에 대한 美정부의 해석에 대해 공식적으로 유감을 표시했다.

8일(현지시간) 미국 엔터테인먼트유통협회인 EMA (The Entertainment Merchants Association)는 조 바이든 부통령에게 뉴튼 총기난사사건의 원인을 폭력적인 미디어로 책임을 돌리지 말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EMA는 최근 발생한 총기난사사건을 다소 폭력적인 미디어(영화, 음악, 게임)등과 관련지어 정부 차원의 조사를 실행하지 말라고 당부하고, 이는 가장 본질적인 문제인 ‘총기소지’에 대한 논의를 방해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EMA가 미국 정부에 직접 공식 입장을 전한 이유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9일 바이든 부통령을 중심으로 총기사건 대책 마련을 위한 TF 신설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최대의 총기 소유권 로비단체인 전미총기협회(National Rifle Association, NRA) 웨인 라피에르 부회장은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총기난사사건을 일으키는 것은 폭력게임이라며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다.

정부가 특수 본부를 설치하면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학부모들 사이에서 폭력게임과 아이들의 폭력성의 연관성에 대한 여론 조사가 발표되는 등 문제가 확산되자 EMA에서 적극 공세에 나선 것이다.

EMA의 임시 회장을 겸하고 있는 마크 피셔는 “정부가 총기 규제안을 수립하기 전에 기존에 학계와 정부 조사결과에서 나온 자료를 확인하는 것을 권한다”며, 총기난사와 폭력게임에는 상관성이 없다는 입장을 강하게 표했다. EMA는 지금까지 미국 대법원에서 폭력게임 관련된 소송 판례 결과와 미국 내 주요 대학에서 실시한 학계 논문 7가지를 언급하며, 모두 폭력게임이 실제 폭력적인 문화를 양산과는 어떠한 연관관계도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007년 버지니아 공대 총기난사사건 당시 이미 정부 차원의 폭력게임 연구조사를 실행한 바 있다. 당시 하버드 대에서 진행한 게임의 폭력성 조사는 연구결과 폭력적인 게임이 현실에서 범죄를 일으킨다는 것은 증거가 전혀 없으며, 게임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문제로 나타난 바 있다.

EMA는 이른 시일 내에 바이든 부통령을 직접 만나 업계의 입장을 전달하고, 총기난사 사건에 대한 정부 조사가 게임 업계로 확대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할 계획을 밝혔다.

한편, 바이든 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대책안 마련을 위해 전미총기협회를 비롯해 총기단체 대표들을 만나고,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관계자들과도 회동할 예정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