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문화부, 바다이야기로 몰락한 건전 아케이드 게임 살린다

/ 1

 

2005년에 터진 ‘바다이야기’ 사건은 국내 아케이드 게임시장의 침체를 초래했다. 당시 직접적으로 사건에 연루된 오락실은 전체의 3%밖에 되지 않았으나 그 여파는 전국의 15,00여 곳의 오락실에 미쳤다. 문제는 사행성 게임은 물론 건전한 아케이드 게임도 함께 몰락한 것이다. 따라서 문화부는 바다이야기 이후, 취약 플랫폼으로 전락한 건전 아케이드 게임에 대해 집중적인 육성책을 펼 계획이라 밝혔다.

 

문화부는 1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해 하반기에 더욱 본격화될 건전 아케이드 게임 육성정책의 상세한 내용을 밝혔다. 지난 2012년 문화부는 ‘아케이드 게임 건전 생태계 조성 방안’을 수립하고 바다이야기 당시 축적된 122억원 규모의 상품권 수수료를 여기에 투입하겠다고 전한 바 있다. 앞으로 진행될 아케이드 게임 육성책 역시 여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

 

주 내용으로는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 제작 지원과 해외 전시회 참가, 콘텐츠공제조합 설립으로 압축된다. 문화부 이수명 과장은 “현재 개발 지원에 12억 원을 투입하고 있으며, 아케이드 게임 전시대회 AAE 2013에 대한 출전 지원도 진행됐다”라며 “이 외에도 관련 연구과제를 진행해 아케이드 게임 육성방안을 모색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정부의 아케이드 게임 진흥책은 2014년 더 구체화된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전국 시도, 업계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아케이드 게임 전용 홍보관’이 대표적인 사안이다. 문화부는 2014년 내 적어도 전용 홍보관 1곳을 개소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수명 과장은 “필요한 자금 역시 정부와 지자체, 업계 3자가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할 예정이다”라며 “특히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둔 게임이라면 이 홍보관을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여기에 우수한 게임을 발굴하기 위해 아케이드 플랫폼에 특화된 별도의 제작지원 공고사업을 운영하겠다는 것이 문화부의 청사진이다. 이 과장은 “이 외에도 건전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진흥책을 고안해, 이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겠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문화부는 기획재정부와의 협의 하에 2014년 게임예산을 50% 이상 증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부분이 현실화될 경우 내년 예산은 100억 이상 늘어나 300억 규모에 달한다. 이렇게 늘어난 국고는 기능성게임과 e스포츠, 게임과몰입 해소 부분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