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2012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 9조 7525억원, 전년비 10.8% ↑

/ 1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오늘(23일) '2013 대한민국 게임백서'를 발간했다. 

백서에 따르면, 우선 2012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8조 8,047억원) 대비 10.8% 성장한 9조 7,52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대로 성장세가 유지된다면 2013년에는 10조원을 돌파하고, 2015년에는 12조 원까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게임시장은 온라인게임이 시장을 선도했고 모바일게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온라인게임은 2012년 6조 7,839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전체 게임시장의 69.6%를 점유했고, 모바일게임은 2012년 8,009억 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체 게임시장의 8.2%를 차지했다. PC방과 아케이드게임장 등 유통부분을 제외한 제작 관련 부분만을 기준으로 볼 때 온라인게임은 86%를, 모바일게임은 10.1%를 점유하며 국내 게임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수출은 26억 3,891만 달러(한화 약 2조 7,845억원)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온라인게임이 전체 게임 수출액의 91.4%(24억 1,085만 달러)를 차지하며 수출을 선도했으며, 모바일게임은 1억 6,898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6.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2012년 게임 수입은 전년 대비 12.6% 감소한 1억 7,913만 달러에 그쳤다.

매출액 기준으로 국내 게임시장(70억 6,300만 달러)은 세계 게임시장(1,117억 5,000만 달러)에서 6.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012년 수출액 기준으로 국산 게임이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중국이며 전체 수출의 38.6%를 차지했다. 일본이 26.7%로 2위를 차지했고, 동남아(18.8%), 북미(7.7%), 유럽 (6.0%)이 뒤를 이었다.

2012년 게임산업 총 종사자는 9만 5,041명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제작 및 배급업 종사자가 5만 2,466명으로 55.2%를 차지했고, 유통 및 소비업 종사자가 4만 2,585명으로 44.8%를 차지했다. 유통 및 소비업 종사자수의 감소세와 제작 및 배급업 종사자수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2012년에는 전년 대비 증감폭이 크지 않았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