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지역 모바일게임산업 활성화, 문화부와 국회 모두 관심

/ 1

▲ 2014년도 문화부 예산안 예비심사 현장

 

문화부와 국회가 모바일게임산업 육성에 더욱 더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서울 및 수도권은 물론 각 지역별 모바일게임산업 활성화에 양측 모두 관심을 보였다는 점이 눈에 뜨인다.

 

12월 7일,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하 교문위) 소회의장에서 열린 2014년도 문화부 예산안 예비심사에서 올해 모바일게임산업 육성에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화부는 지난 10월에 발표한 2014년도 예산안을 통해 모바일게임산업 육성에 2013년보다 20억 더 증액된 60억원을 편성한 바 있다.

 

교문위 측의 검토의견은 모바일게임센터 예산을 정부가 2014년도에 편성한 것보다 20억원 증액하고, 그 외에 지역모바일산업육성 부분에도 예산을 더 투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조현재 제 1차관은 “우선 모바일 게임센터 증액 부분은 2017년까지 지역별로 총 5개소의 센터를 열어 점진적으로 예산을 늘릴 계획을 잡고 있다. 이 센터 역시 한 곳이 아닌 다양한 지역에 위치해 있기에 지역별 산업 육성 역시 이 틀 안에서 반영할 부분이라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문화부가 발표한 2014년 예산안에 따르면 모바일게임 산업 육성은 모바일게임 글로벌 퍼블리싱 사업과 중소 모바일게임 개발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잡고 있다. 세부 내용으로는 게임을 수출하는 국가에 따라 업체별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게임 글로벌 퍼블리싱 사업 확대와 중소 모바일게임 개발사 지원 확대 등이다. 특히 중소업체 지원의 경우 2013년 17개 기업에서 2014년 22개 기업으로 지원규모가 증가할 계획이다.

 

이처럼 정부와 국회가 수도권은 물론 지역 모바일게임산업 육성에 공감을 가졌다는 부분은 업계에도 긍정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특히 대구, 부산 등 지방에 위치한 게임업체가 이러한 육성 의지에 얼마나 좋은 영향을 받게 되는가가 관건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