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게임학계 교수들 ‘2013년은 아이들 꿈 꺾은 한해였다’

/ 1

▲ 연세디지털게임교육원 현장
게임개발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이 진학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썩 좋지 않다

지난 4월 30일, 게임을 술, 도박, 마약과 같은 중독 유발 산업으로 지정하는 ‘4대중독법’이 발의됐다. 발의 후 8달이 지났지만 업계와 정부의 갑론을박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특히 4대중독법이 사회적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고, 이로 인해 국내 게임산업의 이미지도 타격을 입었다.

큰 이슈였던 만큼 학계에 미친 영향도 만만치 않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입학 지원자 감소다. 게임과 입학을 희망하는 지원자들은 2006년을 기점으로 계속 늘어왔는데, 이번해에 그 기세가 꺾였다. 게임학과 진학을 장려했던 학부모들이 4대중독법 입안 논란이 일자,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각인한 것이다.

학생들이 취업할 수 있는 회사의 사정도 달라졌다. 규제정책과 모바일게임의 융성으로 PC 온라인게임을 개발하던 업체들이 사업 확장에 조심스러워졌고, 큰 자본과 시간이 필요한 온라인게임보다는 적은 규모로도 개발이 가능한 모바일로 활로를 열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대해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최삼하 교수는 “모바일 플랫폼의 발달로 게임 유저층이 확대된 것은 반길 일이지만, 최근에는 모바일 편중현상이 심해져 안타깝다”며 “예전에는 학생들의 취업 비율이 온라인 개발사 8, 모바일 2 정도였는데 이제는 상황이 역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모바일 시장의 성장이 문제시되는건 아니다. 교수들이 지적한 부분은 많은 게임사들이 수익 창출에 집중, 작품의 완성도보다는 짧은 시기에 많은 이윤을 낼 만한 게임을 개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수명이 짧은 모바일게임의 특성상 효과적인 수익모델에만 집중, 기발하고 독특한 작품들이 도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에 예비 개발자들을 키우고 있는 교육자들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들이 고민하는 것은 하나로 귀결된다. 게임 시장의 파이 자체가 줄어들어 앞으로도 계속 배출될 졸업생들이 설 곳이 없어질지 모른다는 점, 결국 학생들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다.

연세디지털게임교육원 김진호 부원장은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늘어나고, 규제가 심해져  학생들이 진로를 바꿔야 할지 고민하거나 해외 개발사에 취업하려고 외국어를 공부하기도 한다”며 “2014년도 과도기가 되겠지만, 이번 해의 성장통을 기반으로 자율규제 등을 통해 게임이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허새롬 기자 기사 제보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