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게임산업, K팝과 함께 2011년 수출효자로 활약!

/ 1

big-m-100106.jpg

작년 콘텐츠산업 매출과 수출 성과 부분에서 게임산업이 K팝과 함께 크게 기여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12년 국내 콘텐츠 산업 전반 및 세부산업별 매출과 수출에 대해 미리 예측해볼 수 있는 2012년 콘텐츠산업 전망 Ⅱ편-세부산업편 ‘2011년 결산 및 2012년 전망’을 발표했다.

본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콘텐츠산업의 전반적인 매출액과 수출액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2012년 내수경기위축, 유럽 재정위기, 세계 경제 불확실성 등의 거시적인 경제 악화에도 불구하고 국내 콘텐츠 수요·공급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 추세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2011년 매출액은 82조 6,1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4.6% 증가했고, 수출액은 41억 5천9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2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매출, 수출 증가율을 보인 데는 그간의 정부의 정책지원 및 미디어환경의 변화, 신한류 순풍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부산업별로는 음악산업, 게임산업의 매출과 수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스마트 확대에 따른 오픈 마켓의 활성화, K-POP 등으로 시작된 신한류 열풍에 따른 결과이다.

게임 산업 2011년 매출액은 9조 1천1백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7%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며, 수출액은 22억 1천1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37.7%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경쟁력을 갖춘 게임의 성공으로 게임산업 매출액은 꾸준히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 확대로 온라인게임뿐만 아니라 스마트게임의 해외 수출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수출 확대를 견인하였다.

게임산업 상장사(20개)의 경우 2011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이 3조 751억원으로 이미 2010년 전체 매출액(3조 811억원)에 근접(99.8%)하고 있다. 또한 2011년 3분기까지 누적 수출액은 4천6백만달러로 2010년 전체 수출액(4천8백만달러)에 대비 96.5%를 달성하였다.

특히, 컴투스, 게임빌 등 모바일게임업계는 국내 오픈마켓 시장 개설 및 스마트시장 선점, 글로벌 시장 선전으로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5월 아시아지역 아이폰 게임부문 1위에 오른 `버즐`, 넥슨 ‘카트라이더 러쉬’ 누적 600만건 초과, 게임빌의 ‘에어펭귄’은 백만달러 이상 매출 달성, 컴투스 ‘퀸스크라운’은 2011년 6월 한달간 일본시장 1위 차지 등 다양한 실적이 발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