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 한국국제게임컨퍼런스(이하 KGC2014)'가 11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 간 열린다.
이번 컨퍼런스는 한국게임개발자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K-iDEA)가 후원한다. 올해 KGC는 ‘Hello world: Beyond Korea!’를 테마로 약 120여 명의 국내외 강연자가 디자인, 프로듀싱, 프로그래밍, 운영 등 총 13개 트랙에서 140여개의 강연 및 세계 시장 진출의 성공전략을 공개한다. 기조 강연은 총 4개로 구성돼 있으며 5일과 6일 오후 1시 30분부터 한 시간씩, 마지막 날인 7일에는 두 개의 강연이 연달아 진행된다.
첫 기조 강연을 맡은 유니티 테크놀로지스의 미카 쿠시스토 사업개발부 이사는 ‘소셜 디스커버리가 게이머들을 몰입 및 유지하게 하는 방법’을 발표하며, 오큘러스VR 코리아의 서동일 지사장은 6일 ‘가상현실 시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들’을 주제로 가상현실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예정이다.
이어 아마존 웹서비스(AWS) 한국지사의 토마스 박 솔루션스 아키텍트 총괄은 AWS 클라우드를 활용해 게임을 성공시키는 방법과 실제 사례들을 소개한다.
마지막 기조 강연은 구글의 구글 플레이 앱 겸 게임 비즈니스 총괄인 민경환 본부장이 ‘Taking the Global Stage 구글 플레이를 통한 글로벌 진출’이라는 주제로 구글 플레이에 효과적으로 노출되는 팁과 노하우, 그리고 성공 전략을 발표한다.
이와 함께 동양과 서양의 게임 거장들이 총출동해 글로벌 게임시장을 들썩이게 만들었던 개발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스포츠게임의 중흥을 이끌었던 ‘피파’의 성공 스토리를 시작으로 ‘어쌔신 크리드 4: 검은 깃발’, ‘배틀필드 4’ 등 세대와 지역을 뛰어 넘어 전 세계 게이머들에게 사랑 받은 게임들의 탄생 비화와 개발 스토리, 제작 기법 등이 강연을 통해 소개된다.
‘피파’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EA 세바스티안 엔리께 프로듀서를 시작으로 ‘어쌔신 크리드 3’ 그래픽을 담당한 ▲유비소프트 싱가포르의 폴 푸, '배틀필드'를 개발한 ▲EA DICE의 리니아 헤리슨 리드 아티스트 등이 강연대에 올라 한 시대를 풍미한 게임들의 개발 노하우를 공개한다.
Ys Net INC 스즈키 유 대표는 ‘버추어파이터’ 제작 당시인 90년대 초 시대 배경과 기술의 진화 등을, 일본 코나미에서 ‘악마성 드라큘라x월하의 야상곡’ 시나리오와 후기 디렉팅을 담당했던 ArtPlay 이가라시 코지 대표는 다년에 걸친 경험을 통해 습득한 2D 횡스크롤 액션게임 제작의 노하우를 공유한다.
현지 퍼블리싱 전문가들의 생생한 정보 및 진출 노하우도 공유된다. ‘열혈강호', ‘열혈강호2' 등의 중국 서비스를 맡은 17게임의 대표 Jingqing Sun은 중국 게임시장의 현황을 설명한다.
또한 중국 ‘세기천성’의 Celina Jiang은 중국 진출 실패 사례를 통해 섣불리 해외 진출을 시도하는 회사 및 개발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줄 예정이며, 중국의 ‘구글’을 꿈꾸는 어플리케이션 마켓 플랫폼 기업 치후360의 이종숙 한국사업 총괄 본부장은 중국 진출을 준비하는 한국 업체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유익한 시간을 갖는다.
아울러 베트남 퍼블리셔 VNG 코퍼레이션의 크리스 리우 모바일 파트 부사장은 베트남 현지 시장과 퍼블리싱을 진행하기 위한 제반사항을, 러시아 메일루 그룹의 Mikhail Riazanov 모바일 파트 총괄은 러시아 공략 방법을 공개한다.
또한 일본의 퍼블리싱 기업 코센의 니시가이 츠바사 대표는 일본 현지화에 성공하기 위해 간과해서는 안 될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운영방법’을 역설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일본 시장에서 1,400만 다운로드라는 대히트를 기록하며 ‘퍼즐앤드래곤’의 독주를 저지한 ‘몬스터스트라이크’의 성공 전략이 공개된다. ‘몬스터스트라이크’ 개발사 믹시의 기무라 코키 PD와 오카모토 요시키 오카모토 PD는 일본 시장에서 대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기획 및 개발 요소와 향후 방향에 대해 국내 최초로 공개한다.
개발자들이 직접 선정해 의미를 더하는 KGC AWARDS가 올해도 역시 진행된다. KGC AWARDS는 한 해 동안 주목 받은 게임을 대상으로 후보자 등록을 진행, 강연자 및 참가자들이 직접 투표해 수상작을 선정하는 게임 시상식이다. 올해는 디자인, 그래픽, 프로그래밍, 비즈니스, 포터블, 오픈 트랙 6개 분야, 총 22개의 출품작을 대상으로 투표가 진행된다.
KGC2014 마지막 날인 11월 7일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며, 분야별 수상자에게는 트로피와 함께 KGC2015 Tech Exp Session 혹은 전시 부스 참여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유니티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라인플러스 ▲오큘러스 ▲아마존 웹서비스 ▲오토데스크 ▲데브시스터즈 ▲에픽게임즈 ▲게임베이스 등 관련 기관 및 개발사들이 참여하여 강연, 전시부스, 체험 이벤트 등을 제공한다.
KGC2014 관람객 모두에게는 세계 유명 개발자들의 강연 참관은 물론 각종 행사 기념품, 경품 응모 기회가 제공된다. KGC2014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http://www.kgconf.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초심을 잃지 말자. 하나하나 꼼꼼하게.risell@gamemeca.com
- 개발자 실수로, ‘피코 파크 클래식’ 영구 무료 배포
- [겜ㅊㅊ] 한국어 패치로 더욱 '갓겜' 된 스팀 명작 9선
- [순정남] 대놓고 결말 스포일러 하는 게임 TOP 5
- 프메 개발 중단에 이어, 디자드 '아수라장' 서비스 종료
- [오늘의 스팀] 둠 이터널 등, 가을 할인 90% 게임들 주목
- [순위분석] 상위권 게임 '0' 중위권에서도 주저앉은 엔씨
- [오늘의 스팀] 뱀서류 동접 1위 오른 신작 ‘메가봉크’
- PS5 슬림 신형, 가격 동결한 대신 SSD 용량 줄여 논란
- MS 게임패스 가격 인상은 '콜 오브 듀티' 손실 때문?
- 클레르 옵스퀴르 작가 “두 가지 결말 중 정사는 없다”
게임일정
2025년
10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