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게임업계 인력난 해소되나, 소프트웨어 정규교과목 지정 추진

/ 1


정부가 2018년부터 소프트웨어 과목을 고등학교 정규교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한다. 또한 초등학교부터 중학교, 고등학교까지 정규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인재를 점진적으로 키우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게임업계에도 고급인력을 확보할 문이 활짝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부는 오는 22일, 소프트웨어 교과개선에 대한 토론회를 연다. 현장에서 공론화될 주 내용은 오는 2018년부터 소프트웨어 과목을 고등학교 정규교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정보과학, 정보와 같은 소프트웨어 과목은 현재 과학을 들은 학생만 수강할 수 있는 심화과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수능에서도 제외되어 있기에 소프트웨어 과목을 듣는 학생은 전체의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8년부터 소프트웨어 과목이 정규교과목으로 변경된다면 이 때 고등학교에 입학한 고등학교 1학년생이 수능을 보는 2020년에는 수능 선택과목으로 편입되리라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초, 중학생에 대한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방안도 함께 논의 중이다. 우선 미래부는 2014년에는 20개 초등학교에서 코딩과 같은 프로그래밍 기본 교육이 실시되며, 115개 중학교에 대해 소프트웨어 동아리 운영비, 교재, 교사 연수를 지원한다. 또한 올해 5월부터는 EBS를 통해 청소년이 더 쉽고 재미있게 소프트웨어 과목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방영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 영재교육원과 평생교육원을 운영할 학교를 선정해 이에 대한 지원이 이어진다.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는 지난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내용이다. 미래부와 교육부는 작년부터 교육계와 업계 관계자가 포함된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테스크포스를 구성하고, 관련 교과목을 정규교과과정에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이번에 발표된 내용은 이러한 논의에 대한 결과물이다.

정부의 소프트웨어 교육강화는 게임업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으로 이를 학습해온 인재가 많아진다면, 게임업계 역시 우수한 인재를 광범위하게 영입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는 움직임 자체가 게임업계를 비롯한 관련 업종을 정부 측에서 중점적으로 키워야 할 산업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로 작용한다. 즉, 인재가 늘어남과 동시에 산업에 활기를 불어넣는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외국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국, 중국, 인도, 이스라엘 등은 이미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초 중등학교 정규교과목으로 선정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역시 청소년들의 게임이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지원하며 “청년이 소프트웨어를 배우는 것은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이다”라고 말하며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주용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