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올해 한국 게임산업, 매출 12조-수출 34억 달러 전망

/ 1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올해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과 수출에 대한 예측과 관련 주요 이슈를 분석한 '2014년 콘텐츠산업 전망보고서'를 발표했다.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국내 콘텐츠산업은 세부 장르별로 성장과 위축 편차를 보이나 매출과 수출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음악, 게임, 지식정보 산업의 매출과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만화산업의 성장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게임산업의 경우, 2014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1.2% 증가한 12조 1,028억 원으로 지속적 성장세가 기대된다. 수출액도 34억 4,289만 달러(전년대비 약 15.6% 증가)로 30억 달러를 돌파하며 콘텐츠산업 전체 수출액의 약 6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게임산업 성장세 지속의 주요 이유로 온라인에서 모바일로의 플랫폼 이동에 따른 신규 수요 창출과 국내 대작 온라인 게임의 해외시장 진출을 꼽았다.

 

특히 △국내 대작 온라인 게임의 해외시장 진출 △스마트기기 등 플랫폼의 다변화 △기능성게임 시장의 성장 △게임규제법 통과가 가져올 게임산업 축소 및 외산게임의 점유율 증가 등의 요인이 2014년 국내 게임시장의 성장에 대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과 마찬가지로 게임산업의 주 성장동력은 모바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플랫폼이 일반화되고, 수익성이 높아짐에 따라 산업의 중심이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점차 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규모와 자본력을 갖춘 기존 온라인게임 업체들이 대거 모바일 게임 사업에 뛰어들며 시장구조가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중소 개발사가 안고갈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총 91조 5,3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9% 증가했고, 수출액도 50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0.6%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과 수출이 모두 양호한 증가세를 보인 것은 전 세계적인 스마트 기기 보편화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 및 수출 확대로 풀이된다.

 

세부 산업별로는 음악산업, 게임산업, 영화산업, 캐릭터산업의 매출과 수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스마트콘텐츠 시장 확대에 따른 오픈마켓의 활성화, K-POP으로 시작된 신 한류 열풍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게임산업의 2013년 매출액은 10조 8,8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1.6% 증가했고, 수출액도 12.9% 늘어난 29억 7,800만 달러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작 중심의 온라인 게임 강세와 모바일 게임 시장 확대에 따라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결과다. 수출액 부문에서는 국내 모바일 게임이 일본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는 등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