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PP 게임 인 유럽 현장 (사진제공: 서울산업진흥원)
서울산업진흥원(이하 SBA)는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러시아와 터키 현지에서 진행한 SPP 게임 인 유럽 행사에서 950만 달러(한화로 약 104억 원)의 계약 추진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 네오비앙 ▲ 레인보두야드 ▲ 마상소프트 ▲ 매직스 ▲ 소프톤엔터테인먼트 ▲ 슬러시 ▲ 아이트리웍스 ▲ 오르카 ▲ 이키나게임즈 ▲ 쿵게임즈, 이렇게 서울 소재 10개사가 참석했다. 각 업체는 현지의 유력 퍼블리셔 20개사를 만나 현지 및 인근 수출과 협력에 대해 상담하는 시간을 가졌다.
여기에 현지 게임 트랜드 파악 및 시장 진입 전략 수립을 위해 러시아와 터기 현지 업체를 방문하고, 터키 최대 게임쇼 게멕스에 참관했다. 특히 온라인게임의 경우 바로 출시하자는 적극적인 구애를 받았다.
반면 모바일 산업은 국가별로 시각차가 보였다. 러시아는 2015년을 기졈으로 모바일게임 시장이 본격저긍로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모바일게임에 대한 관심도도 높은 상황이다. 이에 반해 터키는 현지 퍼블리싱보다는 글로벌 타이틀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즉, 현지에서 따로 가지고 가서 게임을 서비스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평이다.
유력 지역으로는 러시아와 터키 외에도 러시아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 우즈벡과 터키 인근에 위치한 사우디아라비아, 두바이, 이집트 등이 떠올랐다.
선호하는 디자인은 서양풍의 실사적 캐릭터 및 코스튬이다. 특히 러시아와 터키는 유저 특성에 맞는 현지화가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며, 현지에 정통한 퍼블리셔와 함께 진행하면 좀 더 수월하게 게임을 출시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소프톤엔터테인먼트 이봉재 실장은 "시장 개척 행사에서 비즈니스 미팅을 해보니 일반 게임쇼보다 미팅 내용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자사 게임에 대한 국가별 선호도를 파악해 어떤 식으로 현지화를 할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쿵게임즈 정민석 이사는 "바쁜 일정이었지만 기업이 개별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짧은 기간 안에 현지 시장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라고 말했다.
SBA 창조산업본부 정익수 본부장은 "서울기업의 시장 개척에 대한 열정과 노력이 퍼블리셔에게 잘 전달됐으리라 믿는다. 본 사업이 좋은 계약에 이르는 단초가 되고, 해당 지역에서의 진입 전략을 잘 수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SPP 게임 인 유럽 행사 결과에 대한 문의는 SBA(ahnsehoon@sba.kr, 02-3455-8362)로 하면 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초심을 잃지 말자. 하나하나 꼼꼼하게.risell@gamemeca.com
- [겜ㅊㅊ] 한국어 패치로 더욱 '갓겜' 된 스팀 명작 9선
- 개발자 실수로, ‘피코 파크 클래식’ 영구 무료 배포
- [순정남] 대놓고 결말 스포일러 하는 게임 TOP 5
- 프메 개발 중단에 이어, 디자드 '아수라장' 서비스 종료
- [오늘의 스팀] 둠 이터널 등, 가을 할인 90% 게임들 주목
- [순위분석] 상위권 게임 '0' 중위권에서도 주저앉은 엔씨
- [오늘의 스팀] 뱀서류 동접 1위 오른 신작 ‘메가봉크’
- PS5 슬림 신형, 가격 동결한 대신 SSD 용량 줄여 논란
- MS 게임패스 가격 인상은 '콜 오브 듀티' 손실 때문?
- "에너지가 없다" 페이블 개발자 피터 몰리뉴 은퇴 시사
게임일정
2025년
10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