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아뿔싸] 중국 진출과 클라우드, KGC 보면 트렌드를 안다

/ 1

 

 

국내외 게임업체 실무자들이 강연자로 나서는 KGC는 현재 시장 흐름을 한눈에 읽는 장으로 평가된다. 스마트폰 게임이 화두로 떠오른 2012년의 경우, KGC 현장에서도 관련 강연 다수가 진행된 바 있다. 그렇다면 올해 KGC 현장에서 이야기될 한국 게임업계 최신 트렌드는 과연 무엇일까?

 

현재까지 공식 집계된 KGC 2013의 총 강연 수는 133종이다. 100여종이 넘는 강연을 관통하는 핵심 테마는 ▲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 진출 ▲ 아마존 웹 서비스(AWS) ▲ 클라우드 게이밍 ▲ 게임회사 취업 이렇게 총 4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에 대해서는 해외 진출 경험을 공유하거나 수출 노하우를 전달하는 강연이 준비되어 있다. 지난 8월 중국 대표 업체 텐센트의 모바일게임 플랫폼 위챗 게임센터가 열리며 앞으로의 성장 기대치가 높은 중국 시장 진출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업계의 흐름이 반영된 결과다.

 

KGC 2013이 개막되는 25일에는 ‘중국에서 살아남는 모바일게임 만들기’와 ‘중국 2억 유저 SNS, 런런윙 런칭 포스트모템’ 등 관련 강연이 진행된다. 이어서 26일에는 ‘중국 내에서 아이드림스카이가 높은 퀄리티의 게임을 퍼블리싱할 수 있는 노하우’와 ‘중국 모바일게임시장에서 성공하는 법’,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산업을 하기 위한 특징과 방안’ 등, 현역 종사자들이 직접 진행하는 강연이 열릴 예정이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인 아마존 웹 서비스는 이에 관련한 기조강연이 마련되어 있다. AWS의 게임 비즈니스 분야를 총괄하는 페트릭 프랜더개스트는 해당 강연에서 ‘글로벌 모바일 게임 선도 기업들의 성공 노하우’에 대해 이야기한다. 데브시스터즈의 홍성전 서버 테크니컬 총괄은 ‘아마존 클라우드와 함께한 1개월 – 쿠키런 사례 중심’ 강연을 통해 대표작 ‘쿠키런’을 아마존 웹 서비스에 출시하며 겪은 경험과 서비스의 장, 단점에 대해 알린다.

 

특정 기기에 설치된 게임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PC나 콘솔,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게이밍 역시 주요 화두 중 하나다. 특히 국내에는 PC와 모바일을 연동하는 클라우드가 화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이러한 경향에 맞춰 올해 KGC에는 'TV에서의 클라우드 게임의 비전',‘차세대 클라우드 운영 전략’, ‘해외 모바일게임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도입’, ‘PC, 모바일, HTML5 게임을 위한 크로스 플랫폼 언어’, ’모바일게임 최적 구성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등의 강연이 예정되어 있다.

 

게임산업 종사 희망자를 위한 취업 전문 강연도 눈길을 끈다. 특히 순수 구직자를 위한 것은 물론 소규모 게임사 설립을 꿈꾸고 있는 종사자를 위한 스타트업 창립 노하우를 공유하는 강연도 마련되어 있다. ‘나도 게임 만들고 싶어요, 게임회사 어떻게 취직하나요’와 ‘취업자를 위한 전략적 포트폴리오 분석’, ‘스마트폰 게임회사 창업시 알려주지 않는 것들’ 등이 주요 강연으로 손꼽힌다.

 

이 외에도 유니티, 하복, 에픽게임즈 등 게임 엔진 전문업체들이 자사의 새로운 엔진과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시간을 갖는다. 특히 유니티는 2D 게임 제작 전문 엔진 ‘유니티 2D’ 등 자사의 신제품에 대한 강연 11종을 진행한다. KGC 2013의 플래티넘 스폰서로 참여하는 하복 역시 이번 행사를 통해 자사의 모바일용 3D 엔진 ‘프로젝트 아나키’를 전면에 내세운다. 

 

▲ KGC 2012 현장에서 진행된 하복 코딩 콘테스트

 

마지막으로 가상현실 헤드폰 오큘러스 리프트가 핵심 화두로 떠올랐다. 실제로 올해 5월 엔씨소프트와 넥슨에서 직원을 대상으로 한 방문 시연회가 열렸을 정도로 오큘러스 리프트와 가상현실 게이밍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요 강연으로는 오큘러스 리프트의 브랜든 이리브 대표가 직접 진행하는 키노트 ‘가상현실과 게임의 미래’다.

 

KGC 2013은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