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K-iDEA,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개선위해 '정책협의체' 발족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이하 협회)가 오는 14일부터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개선안 마련을 위한 정책협의체를 발족한다.

정책협의체는 자율규제의 신뢰성과 객관성 확보를 목표로, 지난 7월 발표된 ‘게임문화진흥 종합계획’에 따라 자율규제 개선방안 수립 과정에 다양한 주체 참여를 유도하고, 평가 및 개선활동 전개에도 폭 넓은 의견을 수렴한다. 

정책협의체에는 법률, 경제, 교육, 게임 개발 등 각계 전문가 그룹을 포함해, 이용자 및 소비자 단체 대표, 청소년 전문가, 게임물관리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여한다. 아울러,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사안이 게임업계 자율규제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인만큼 직접 관여는 하지 않되, 자율규제가 게임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사회적 시스템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주요 논의 과제로는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개선방안 도출, 자율규제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강화 방안 마련, 자율규제 준수여부에 따른 인센티브와 페널티 부여 방안 등 자율규제 관련 현안들이며, 향후 협회는 정책협의체의 다양한 의견을 회원사와 함께 검토하여 자율규제 개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협의체 발족에 앞서, 협회 회원사들은 기존 자율규제의 추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확률 공개 내용 및 수준을 강화하고, 공개 장소에 있어 협회 공식 웹사이트 취합 안내, 게임 내 표기 등과 같이 이용자 접근성을 높이자는 취지의 강화안 마련에 합의했다.

강신철 협회장은 “그 동안 게임업계가 자율규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논의해온 내용들이 정책협의체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 조율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자와 사업자 간 적절한 균형을 도출해 합리적인 수준의 자율규제 개선안을 마련하겠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개선안을 확정, 발표하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고민과 열린 논의를 통해 자율규제 실효성을 제고해 건전한 게임문화 조성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지난 2015년 도입되어, 준수율 93%를 기록하는 등 소기 성과를 거두었으나, 공정성과 합리성,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게임업계 안팎의 지적에 따라 정책협의체 구성을 비롯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이찬중 기자 기사 제보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10